안녕하세요.

오늘의 만들어 먹고 싶은 요리를

레시피를 찾아 전달하고 있는 '땡그리그리'입니다.

 

평소 저는 가족들과 함께

전 종류의 음식들을 간식으로 만들어

먹고는 하는데요 :)

 

오늘은 수미네 반찬에 나왔었던

'가지전' 레시피를 정리해 보았습니다.

 

 

 

 

 

가지는 어떻게 요리를 하느냐에 따라

식감이 전혀 달라질 수 있는 재료인데요!

가지 튀김을 만들어 먹어도 정말 맛이 있는데,

튀김의 경우에는 집에서 하기가

대략 난감할 때가 있죠.

 

그래서 오늘은 가지전 만드는법을

김수미 선생님 레시피로 알려드릴게요!

 

 

data-language="ko"

 

 

<준비물>

가지

계란 3개

밀가루

쪽파 2대

다진 홍고추 반개

다진 마늘 반 큰 술

참기름 1큰술

간장

통깨

고춧가루 1 작은술

 

 

 

 

늘 그러하듯이 프라이팬을

약불에 올려 둔 뒤

올리브유를 살짝 둘러주세요.

모든 전 요리를 할 때에는

센 불로 조리를 하기보다는

약불로 노릇노릇 구워주시는 게 포인트랍니다.

 

 

 

 

 

2단계

 

먼저 메인 재료라고 할 수 있는

가지를 손질해 줄텐데요.

꼭지를 제거해 주고,

도톰한 크기로 어슷 썰기를 해주세요.

거기에 체크무늬로

칼집을 내어 주면 나중에

더 맛있어 보이는 효과를 받으실 수 있답니다.

 

여기서 tip.

신선한 가지는 꼭지 주름이

선명하게 드러난 것으로 골라주세요!

표면이 매끈하고 흠집이 없고,

검보라색에 광택이 있는 가지가

신선한 가지랍니다.

 

더불어, 꼭지에 가시 돌기가

날카롭게 있는것이 신선한 가지라는

표시라고도 해요.

 

 

 

 

 

계란 3개를 풀어서

계란물을 만들어 준 뒤에

썰어둔 가지는

밀가루를 묻혀서 계란물까지 입혀주세요.

 

조금 손이 가는 번거로운 과정이라도

부가적인 재료들이 많이 들어가지 않고도

맛있는 음식을 완성할 수 있는 부분에

초점을 두고 따라 해 보시면 좋을 것 같아요!

 

 

data-language="ko"

 

 

그렇게 밀가루와

계란물을 묻힌 가지는 달궈진 프라이팬에서

노릇노릇하게 구워주시면 됩니다.

 

여기까지 따라 하시는데 큰 어려움 없으시죠?ㅎ

가지전은 간식으로 만들어 먹기에도 좋고,

집에 손님이 오셨을 때 간단하게 만들기에도

참 좋은 음식 중에 하나입니다.

 

특히, 가지를 싫어하시는 분들도

가지전을 맛보시고는 빠져드시는 분들도 많습니다.

 

 

 

 

 

이제 가지전 만드는법 마지막 단계인

양념장 만들기입니다.

 

쫑쫑 썬 쪽파 2대와

다진 홍고추, 마늘 참기름과 간장을 넣고

고춧가루와 통깨까지 넣어서

양념장을 만들어 주세요.

 

간장 양념 덕분에

자칫 심심할 수 있는 가지전에

뭔가 맛이 더 해진 기분이랄까요?ㅎㅎ

 

 

 

 

 

양념장을 뿌려서 먹어도 되고,

찍어서 먹어도 될 것 같습니다.

글을 쓰다 보니 군침이 도는 건.....

저만 그럴까요?ㅎㅎ

 

이번 다가오는 주말에는

집에서 방콕 하면서

가지전 만들어 먹으며 쉬어야겠습니다.

 

그럼 지금까지

가지전 만드는법 수미네반찬

김수미 레시피 소개해 드렸습니다.

안녕하세요. 좋아하는 음식의

레시피를 소개하는 '땡 그리그리'입니다.

 

오늘은 수미네 반찬 콩자반 레시피를

소개해 드리려고 하는데요 :)

 

저도 집에서 직접 해보았는데,

어느 날은 콩이 너무 딱딱해져서 먹질 못했고,

어느날은 콩이 너무 푹 익어서 망했던 기억이 있습니다.

 

은근히 만들기 어렵다는 생각을

갖고 있는 밑반찬 중에 하나인 '콩자반'

 

김수미 선생님 레시피로

순서에 맞게 따라 만들어 볼게요!

 

 

 

 

 

 

성장기 아이들부터 어른들까지

콩은 우리 몸에 좋은 영양분을 주는

음식 중에 하나입니다.

 

어렸을 때에는 그렇게 콩이 먹기 싫었는데,

세월이 흐르고 나니 어찌나 콩자반이 맛있던지...

어머니께서 해주셨던 콩자반은

참 맛있는데, 제가 직접 해보면 늘 망해요ㅜ_ㅜ

 

은근히 어렵고도 어려운 음식이기에,

오늘은 수미네 반찬에서 나왔었던

김수미 콩자반 만드는법을 정리해볼게요.

 

 

data-language="ko"

 

 

<준비물>

검은콩

물, 간장
설탕 6 작은술

참기름
통깨

 

 

 

 

 

1단계

 

가장 먼저 좋은 검은콩으로 요리를 해주는 것이 중요하고,

그다음은 깊은 냄비에 검은콩을 넣어주세요.

 

콩이 잠길 정도까지 물을 넣어준 뒤에,

넣은 물의 1/3 만큼 간장도 넣어주시면 됩니다 :)

 

콩자반은 좋은 재료와

몇 가지 양념들만 있으면 간단하게 만들 수 있지만,

은근히 어려운 요리 중에 하나인 것 같아요.

 

 

 

 

 

 

2단계

 

냄비의 물이 끓으면

설탕 6 작은술을 넣어주세요.

 

콩자반은 콩을 싫어하는 아이들을 위해서라도

달달한 맛을 내어 요리를 해주는 것이 포인트지요.

 

특히, 이러한 달달한 맛은 콩의 고소함과 만나서

더 맛있는 효과를 불러일으키는 것 같습니다.

 

 

 

 

 

3단계

 

센 불로 콩을 익히는 것이 아니고,

중간 불로 콩을 익혀주세요.

 

그리고 김수미 콩자반 레시피를 보면

설탕에 이어서 달달한 맛을 더해주고 싶으면

꿀도 넣는 장면을 보게 되었어요.

 

이때 꿀을 넣기 전에 미리 간 보시는 것 잊지 마세요.

딱 맛을 보았을 때 달달하다 싶을 때까지

꿀을 넣어주시는 게 포인트랍니다.

 

 

data-language="ko"

 

 

4단계

 

그렇게 콩이 익었다 싶을 때쯤에는

참기름으로 콩을 코팅시켜 줄 거예요.

 

그럼 콩에 기름이 싹 둘러짐과 동시에

꿀 덕분에 달달한 맛과 참기름의

고소함까지 더해져 정말 맛있는 콩자반의 탄생입니다.

 

저도 엄마에게 김수미 레시피를 알려주고

따라서 만들어 먹어보았는데,

훨씬 달달하면서 맛있더라고요.

이게 콩자반 맛있게 만드는법인가 싶기도 하고...ㅎㅎ

 

 

 

 

 

 

마지막

 

지저분해 보이지 않을 정도의

통깨를 적당히 뿌려주고,

불을 끈 뒤 잔열로 마무리해주면

추억의 반찬인 콩자반이 완성된답니다.

 

영양 만점 밑반찬 중에 하나이며

성장기 아이들에게도 너무 좋은 '콩자반'

 

그럼 지금까지 콩자반 맛있게 만드는법에 대해

알아보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오늘 저녁 밑반찬으로 한번 만들어보시는 건 어떠실까요?ㅎ

 

 

본격적인 장마가 시작되고,

습도도 올라가니 요즘 날씨는 최악ㅠ_ㅠ

차라리 빨리 비가 확 내렸으면 좋겠어요~

너무 더워서, 최근에 무엇을 해먹을까

고민하다가 엄마와 함께 만들어 먹었던

수미네 반찬 검은콩국수!

레시피 정리 해 보았으니,

모두 여름 별미로 해 드셔 보셔요.

 

 

 

 

 

 

 

어렸때에는 콩국수가 무슨 맛인지 잘 몰랐었는데요.

요즘에는 고소하면서도 시원해서 참 맛나더라고요.

얼음까지 넣어주면 확실히 여름 별미 메뉴!!

만드는 방법도 꽤 간단하니까

순서대로 따라해보세요 :-)

 

 

data-language="ko"

 

 

<수미네 반찬 검은콩국수 레시피>

준비물

검은콩 500g
검은개 2큰술
오이
토마토
소금

 

 

 

 

먼저 준비 해 둔 검은콩을

6시간 동안 물에 불려주세요!

너무 오랫동안 불리면 영양 성분이 손실고 물러지니

ㅠ_ㅠ시간 잘 지켜주셔야해요!~

그렇다고 너무 짧게 불리면 딱딱해서 갈리지 않을수 있으니

6~8시간 동안 불려주시면 된답니다.

 

 

 

 

 

 

그렇게 시간이 흐른 뒤,

물에 불려 놓은 검을콩을

냄비에 넣고 푹 삶아주시는데요~!

어느정도 삶아졌다 생각이 들때까지

대~충 적당히 삶아주시면 되세요ㅋ_ㅋ

 

 

 

 

 

 

삶은 검은콩을 믹서기에 넣고

검은깨 2큰술과 기호에 따라

물을 추가해 주어 곱게 갈아준 뒤

냉장고에 넣어 차갑게 식어주면

검은콩국수 국물은 완성!

 

 

data-language="ko"

 

 

면도 탱글탱글하게 삶아준 뒤

차가운 물에 헹궈주고~

콩국수 국물과 얼음까지 넣어주면

검은 콩국수 전체적으로 완성 :-)

 

 

 

 

 

 

마지막 마무리로 오이랑 토마토까지

올려주면 보기 좋은 비주얼 완성~!

검은콩은 국산으로 잘 사셔야지

고소한 맛이 강하면서 맛나더라고요!

잘 보고 사셔요ㅎㅎ

 

평소 저희 조카들부터 해서,

온 가족들이 좋아하는 시래기 된장국이

수미네 반찬에 나왔더라고요!

엄마가 끓여주시는거랑은 다른 맛이 날듯 하여

궁금해서 레시피 정리를 해보았습니다.

시래기 된장국도 한끼 해결 뚝딱이죠?!

 

 

특히, 시래기 된장국은 뭔가

추운 겨울날에 끓여 먹으면 더 맛나는거 같아요.

제 조카들도 어찌나 잘 먹던지...

부드러운 시래기 식감 때문인지,

어른 아이 할것 없이 모두 다 잘 먹는 메뉴인데요!

그럼 수미네 반찬 시래기 된장국

레시피 한번 볼게요

 

 

data-language="ko"

 

 

<수미네 반찬 시래기 된장국 레시피>

 

준비물

물2L
멸치, 다시마 육수팩
시래기 500g
된장 2큰술
양파 반개
다진 청양고추 2개
홍고추 1개
다진 마늘 1큰술

 

 

역시 대부분의 육수를 끓일 때에는

멸치와 다시마는 빠짐없이 들어가는듯 해요.

맑은 국물을 내주는데 참 좋죠ㅎㅎ

맛도 고소하니~ 건강에도 좋기까지!

 

 

먼저 주 재료인 시래기는

껍질을 벗겨 주시는게 좋아요ㅠㅠ

그래야 정말 부드러운 시래기를

만나보실 수 있답니다.

물에 불려서, 껍질 좀 벗겨주고

한번 삶아주세요!

껍질 안 벗기면, 질긴감이 있답니당

 

 

data-language="ko"

 

 

 

시래기에도 된장 맛이

잘 스며들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방법인데요!

된장을 물에 풀지 말고,

시래기랑 버무려주세요!

이것도 키 포인트 중에 하나인듯 싶어요.

 

 

data-language="ko"

 

 

된장과 함께 버무려준 시래기를

육수에 투하시켜 주세요.

그 다음은,

양파 반개와, 청양고추, 홍고추,

다진 마늘까지 넣고 끓여주면 완성!

생각보다 엄청 간단하지요?

 

 

좀 짜다 싶으면 물을 더 넣어도 좋아요.

시래기 껍질 벗겨주는거 잊지마세용~

안 그러면 시래기가 너무 질길 수 있습니다.

여기까지 수미네 반찬

김수미표 시래기 된장국 끓이는법

알아보았습니다!

다음엔 다른 레시피 들고 올게요~

 

+ Recent posts